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과학/생활과 과학9

생활과 과학-태풍에 대하여, 위험반원, 안전반원 이번 글은 태풍의 위험반원과 안전반원에 대하여 이야기하고자합니다 글의 순서는 1. 태풍 2. 자전과 편서풍과 저기압 3. 위험반원과 안전반원(가항반원) 1. 태풍 1) 태풍의 정의 태풍은 열대지역에서 발생한 저기압으로 강한바람(17.2m/s)이 동반될 때 태풍이라고 부릅니다 태풍(Typoon)은 아시아 지역에서 사용되는 단어이고 지역이나 국가에 따라 허리케인, 사이클론으로 태풍과 같은 현상을 표현합니다 2) 태풍의 강도 태풍은 최고 풍속을 기준으로 그 강도를 나누어 표현합니다 한국에서 유명했던 '매미'는 최대 풍속 69m/s의 초강력 태풍이었습니다 2. 자전과 편서풍과 저기압 1) 자전 지구는 자전을 합니다 자전에 의해 많은 현상이 발생하는데 그 중 하나가 코리올리 힘 입니다 코리올리힘은 지구 자전축에 .. 2023. 8. 10.
생활과 과학-질량과 무게 이번 글에서는 평소에 많이 혼용되어 사용하는 질량과 무게를 구분하고 다양한 예시를 들어보려합니다 글의 순서는 1. 질량 2. 무게 3. 중력가속도 입니다. 1. 질량 1) 질량의 정의 사전적 정의는 '변하지 않는 물질의 고유한 양' 입니다. 한글이지만 무슨의미인지 모르겠습니다... 저 말을 풀어보면 물질이 존재 함으로서 가지는 고유한 값이라는 의미입니다 질량의 단위는 g, kg 등을 사용합니다 2) 질량의 느낌 질량의 느낌을 설명하면 '물질의 묵직한 정도' 라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승용차랑 탱크를 예시로 들면 밀었을 때 탱크가 더 안밀립니다 이는 보통 더 무거워서 라고 무게의 개념을 이용하지만 그런 묵직한 느낌이 바로 질량이 크다 입니다 만약 승요차와 탱크가 같은 속력으로 달릴 때 멈추기 위해 필요한 에.. 2023. 7. 8.
생활과 과학-감칠맛, MSG란?, MSG의 오해 이번 글에서는 인공감미료로 유명한 MSG에 대하여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글의 순서는 1. 감칠맛, MSG란? 2. MSG에 대한 오해 입니다. 1. 감칠맛, MSG란? 1) 감칠맛 예전에 사람이 느낄 수 있는 맛은 단맛, 쓴맛, 신맛, 짠맛으로 이야기 되었습니다 (매운맛은 통각으로 봅니다) 1908년 일본의 화학자인 카이네 아키타가 처음으로 감칠맛이라는 개념을 제시합니다 보통 감칠맛의 정의는 맛의 깊이와 풍미를 의미합니다 음식 중에 육류, 해산물, 발효식품 등에서 느낄 수 있습니다. 감칠맛을 만드는 요인은 단백질의 성분인 아미노산 입니다 그래서 단백질이 분해되는 조리과정은 감칠맛을 높힙니다 2) MSG란? MSG는 MonoSodium L-Glutamate 의 약자입니다 간단히 설명하면 하나의 나트륨이 달라.. 2023. 5. 17.
생활과 과학-저탄고지(LCHF)다이어트의 기본 원리, 인슐린의 작용, 혈당과 다이어트 이번 글에서는 저탄고지(LCHF)다이어트와 혈당과 인슐린에 대하여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글의 순서는 1. 저탄고지(LCHF) 2. 혈당과 혈당의 항상성 3. 저탄고지의 과학적 원리 입니다 1. 저탄고지(LCHF) 현재 많은 사람들의 지지를 받는 저탄고지 (Low Carbs High Fat) 는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은 식사를 추천합니다 1) 낮은 탄수화물의 섭취 탄수화물의 섭취를 줄입니다 단순히 탄수화물을 줄인다기보다는 단당이나 다당류의 혈당에 변화를 주는 요소를 조심하도록 권장합니다 특히 단당류인 설탕, 액상과당 등의 GI지수가 높아 혈당 상승이 빠른 것들은 굉장히 몸에 나쁘다고 이야기합니다 2) 양질의 지방 섭취 트랜스 지방 등의 안 좋은 지방이 아닌 자연에 가까운 지방인 달걀, 버터, 고기, 올리브유 .. 2023. 5. 7.
생활과 과학-스테이크 굽기, 굽기 정도에 따른 온도와 시간, 마이야르 반응, 스테이크 레스팅 시간, 심부온도 이번 글에서는 스테이크 굽기 정도에 따른 온도와 시간을 스테이크 두께를 고려하여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추가적으로 마이야르 반응과 스테이크를 구울 때 잊기 쉬운 레스팅시간에 대해서도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스테이크 굽기에 대한 글을 생활과 과학에 넣어야 할지 정보에 넣어야 할지 고민하다가 생활과 과학에 넣었습니다 마이야르 반응과 각종 온도는 과학이니까요 글의 순서는 1. 스테이크 굽기 정도 2. 스테이크 굽기-온도와 시간 3. 마이야르 반응 4. 레스팅 시간 입니다 1. 스테이크 굽기 정도 1) 보통 굽기의 기준 -레어(Rare) 스테이크의 중심부가 붉은색 -미디엄레어(Medium-rare) 스테이크의 중심부가 연한 붉은색 -미디엄(Medium) 스테이크의 중심부가 연한 핑크색 -웰던(Welldone) 스테이크.. 2023. 3. 11.
생활과 과학-불, 빛은 고체, 액체, 기체 중에 무엇일까?, 빨간불꽃과 파란불꽃의 차이 이번 글에서는 '불과 빛은 어떤 상태인가' 라는 질문에 대한 답을 이야기하려 합니다 보통 물질의 상태는 고체, 액체, 기체 3가지로 이야기합니다 플라즈마를 넣는 경우도 있으나 보통은 다루지 않습니다 사람들은 가끔 고민합니다 불꽃은 기체인가? 햇빛은 무슨 물질이지? 알고 나면 생각보다 간단합니다 글의 순서는 1. 고체, 액체, 기체 2. 빛과 불 3. 빨간불, 파란불 입니다 1. 고체, 액체, 기체 보통 우리가 일상에서 만나는 물질은 고체, 액체, 기체 중 한 가지입니다 흔히 만나는 물의 세 가지 상태 얼음, 물, 수증기가 예시입니다 에너지는 얼음, 물, 수증기 순으로 높아집니다 고체는 형태가 일정하고 열에 의해 부피가 잘 변하지 않습니다 (상대적으로 조금 변합니다) 액체는 형태가 일정하지 않고 열에 의해.. 2023. 2. 15.
생활과 과학-냉장고, 에어컨의 원리, 냉매의 종류와 조건, 에너지를 많이 소모하는 이유 이번 글에서는 냉장고와 에어컨의 원리에 대하여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사실 두 개는 같은 원리입니다 둘 다 안에 있는 열을 밖으로 빼줍니다 과학에서는 냉기라는 개념이 없습니다 열이라는 개념만 존재합니다 열이 하나도 없는 온도는 약 영하 273도입니다 그것보다 높으면 다 열이 있는 상태로 봅니다 그래서 과학에서는 굳이 표현하면 방을 시원하게 한다 ->방의 열을 밖으로 뺀다 의 느낌이 강합니다 물론 필자도 방을 시원하게 한다 라고 말합니다^^ 글의 순서는 1. 기체의 상태변화와 에너지 2. 냉장고, 에어컨의 원리 3. 냉매, 냉매의 조건 4. 냉방장치가 에너지를 많이 소모하는 이유 입니다 1. 기체의 상태변화와 에너지 1) 물질의 상태변화 모든 물질은 세 가지 상태를 가집니다 고체, 액체, 기체 입니다 모두 아.. 2023. 2. 14.
생활과학, 중1 과학-지각의 이동-대륙이동설, 판 구조론, 지진, 규모와 진도, 지진의 발생, 지진의 피해 이번글은 지진에 관한 글입니다 지구의 지각(땅)은 여러조각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조각을 과학에서는 판이라고 부릅니다 베게너가 주장했던 대륙이동설을 시작으로 현재의 지각의 움직임이 연구되었습니다 현재 정설로 보고있는 판 구조론은 지구의 맨틀 위에 판이라는 지각의 조각들이 떠 있고 그 판들의 맨틀의 대류에 의해 움직인다고 보고 있습니다 판들이 움직이고 판 사이의 경계에서 판이 생기고 사라지고 끊어지기도 합니다 이러한 현상들이 지진의 원인입니다 글의 순서는 1.대륙이동설 2.판구조론 3.판의경계와 지진 4. 지진 규모와 진도 입니다 1. 대륙이동설 1) 대륙이동설 독일의 과학자 베게너가 1900년대에 주장하였습니다 주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모든 대륙은 하나로 붙어있었다 그리고 대륙들이 움직이면서 현재의.. 2023. 2. 9.
생활과 과학-시력교정술, 안경의 원리 라섹을 해봤습니다 그리고 관련된 글을 써봅니다 시력교정술 종류와 병원 선택은 아래글을 참고해주세요 2023.02.03 - [삶/정보] - 라섹 후기- 병원선택, 라식 라섹 선택, 시력교정술 후기 라섹 후기- 병원선택, 라식 라섹 선택, 시력교정술 후기 최근 아기가 짜증을 내면서 제 안경을 집어서 던집니다 좋운 명분이 생겨서 라섹을 하기로 했습니다 25년 안경인생을 끝내는 후기입니다 1. 라섹 라식 등 시력교정술의 원리 전 겁쟁이라 일단 공 musics.tistory.com 이번글에서는 시력교정술과 안경의 원리에 대하여 이야기 하고자 합니다 글의 순서는 1. 눈의 구조에서 수정체와 망막의 관계, 빛의 굴절 2. 안경의 원리 3. 시력교정술의 원리 입니다. 1. 수정체와 망막, 빛의 굴절 먼저 설명드릴 것은.. 2023. 2. 6.
반응형